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59

국민연금 추후납부제도 알아보기 노후 준비를 위해 제일 살펴봐야 할 것이 국민연금입니다. 비록 재정고갈 등 많은 이슈가 있지만 그래도 나라에서 보장을 해주고, 물가 상승률도 반영을 해 주기 때문에 노후 준비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인 국민연금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노후준비 공백을 메우는 추후납부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추후납부제도란? 추후납부제도는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었던 기간(납부예외 기간, 적용예외 기간)이 있을 경우 이 기간 동안의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납부예외 기간으로 인정되는 경우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중단이나 실직, 출 등으로 인한 소득 중단 1988년 1월 이후 군복무기간(단, 공적연금에 가입된 기간 제외) 2. 국민연금 추후납부제도 상세내용.. 2023. 10. 27.
개인연금 수령시 납부해야 할 세금 개인연금 수령 시 납부해야 할 세금 노후 대비가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연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연금은 비교적 오랜 기간 준비하는 만큼, 모인 금액이 커져서 납부해야 하는 세금도 늘어나기 때문에, 개인연금 준비 시 수익성 뿐만 아니라 필수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 세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개인연금을 수령할 때 납부해야 할 세금은 얼마일까요? 개인연금에는 세제적격과 세제비적격 상품이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개인형IRP는 보험료를 납입하는 동안 매년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 세제적격 상품입니다. 납입하는 동안 세액엑공제 혜택을 받는 대신, 연금 수령 시에는 3.3%~5.5%의 연금소득세가 부과되며 연금 외 수령 시에는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반면, 연금보험은 세제비적격 상품으로 .. 2023. 10. 13.
기초연금이란? 국민연금과 어떻게 다른가?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이름이 비슷하여 같은 종류의 연금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연금 제도입니다. 1. 기초연금 개념 기초연금은 본인 기여와 상관없이 보편주의와 평등주의의 원리에 입각하여 가능한 한 모든 국민들에게 노후에 정액의 연금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공적연금제도로 소득이 적은 노인들께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따라서 기초연금제도의 급여는 근로 활동 중단에 따른 소득상실 이전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득보장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국민연금은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에 따라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비교 기초연금 국민연금 관리기관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대원 세금 국민연금기금 비고 본.. 2023. 9. 6.
8월부터 강화되는 교통 법규, 주정차 금지 구역 확대 등 모르면 나만 손해인 8월부터 강화되는 도로교통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월 한 달 동안 계도 기간이 끝나서 8월 1일부터 집중 단속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반드시 아래 사항들을 숙지하시어 피해 보시는 분들이 없기를 바랍니다. 1. 주·정차 절대 금지구역 확대 (5곳 → 6곳)기존 주·정차 금지 구역은 소화전 5m 이내, 교차로 모퉁이 5m 이내, 버스 정류소 10m 이내, 횡단보도, 초등학교 정문 앞 어린이 보호구역이었습니다. 여기에 경찰은 주·정차 절대 금지구역을 인도(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보도)를 포함한 6곳으로 확대하고, 지난 7월 계도기간을 거쳐 이달부터 본격적인 단속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주정차 금지 구역에서 1분만 지나도 바로 신고가 들어가며, 특히 인도에 주차하거나 인도에 .. 2023.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