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일기233

해외펀드 투자 시 환헤지는 해야 하나? 해외펀드 투자 시 환헤지는 해야 하나?환율은 한 나라 통화에 대한 다른 나라의 통화값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달러 $1을 사려면 원화 1,300원이 있어야 하는데 어떤 때는 1, 450원, 어떤 때는 1,250원만 있어도 됩니다. 이처럼 환율은 각 국가의 금리, 물가, 무역수지, 정책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그 방향성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외환시장 상황에 따라 환헤지를 하는 게 좋을 때도 있고, 환헤지를 해서 손해를 볼 때도 있습니다. 1. 환헤지 vs 환노출환헤지(H, hedge)는 펀드 성과가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파생상품을 통해 환헤지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합니다. 환율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지만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미 .. 2025. 2. 17.
팔란티어 회사 소개, 핵심 사업 및 24년 4Q 실적 분석 팔란티어 회사 소개, 핵심 사업 및 24년 4Q 실적 분석1. 팔란티어 회사 소개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Inc.)는 2003년에 설립된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로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주요 제품은 Gotham과 Foundry로, 이들은 정부 기관과 기업이 대규모 데이터를 통합, 분석, 시각화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활용됩니다. 피터 틸(Peter Thiel), 네이선 게팅스(Nathan Gettings), 조 알렉산더 카프(Joe Lonsdale) 등이 공동 창업하였습니다. 2. 핵심 비즈니스1) 팔란티어 고담(Palantir Gotham)주요 고객 : 정부 기관 (미국 국방부, CIA, FBI 등)기능 :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 .. 2025. 2. 7.
딥시크(Deepseek)가 불러온 AI 시장 경쟁 딥시크(Deepseek)가 불러온 AI 시장 경쟁지난주부터 오늘까지 중국의 AI 스타트업이 개발한 '딥시크' 등장이 AI 시장에 큰 논쟁거리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CNBC는 24일(현지시간) 중국의 거의 알려지지 않은 AI 연구실이 성능이 떨어지는 칩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최고 성능보다 성능이 뛰어난 AI 모델을 출시하면서 실리콘 밸리 전역에 공포가 퍼졌다고 소개했습니다. 뉴욕타임스 역시 23일(현지시간) 보도한 분석 기사에서 딥시크가 오픈 AI와 구글 등 실리콘밸리의 거대 기업보다 첨단 칩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챗봇을 만들어 미국의 AI칩 수출규제의 한계를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1. 딥시크(Deepseek) 성능딥시크 R1은 OpenAI의 o1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벤치마크에서 .. 2025. 1. 31.
공모주 청약 용어 이해하기 공모주 청약 용어 이해하기2024년 12월 공모주들의 수익률이 잘 나오면서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모주 투자를 해보고 싶은데, 생소한 용어들로 인해 주저하신 분들이 계셨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 관련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공모주증권시장에 상장하는 기업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주주를 모집하는 것을 공모(公募), 기업이 공모를 위해 발행하는 주식을 공모주(公募株)라고 합니다. 즉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주식'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업이 상장하기 전에는 비상장 상태로 이 때는 창업자 등 소수의 인원이 대부분의 주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때 공개적으로 주식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신청을 받고 일련의 과정.. 2025.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