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일기

공모주 청약 용어 이해하기

by 슈필1 2025. 1. 28.
반응형

공모주 청약 용어 이해하기

2024년 12월 공모주들의 수익률이 잘 나오면서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모주 투자를 해보고 싶은데, 생소한 용어들로 인해 주저하신 분들이 계셨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 관련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모주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기업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공개적으로 주주를 모집하는 것을 공모(公募), 기업이 공모를 위해 발행하는 주식을 공모주(公募株)라고 합니다. 즉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주식'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업이 상장하기 전에는 비상장 상태로 이 때는 창업자 등 소수의 인원이 대부분의 주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때 공개적으로 주식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신청을 받고 일련의 과정을 거쳐 분배해 주는 것입니다.

 

2. 공모주 수요예측

IPO를 통해 공모하는 주식을 기관과 외인 투자자들이 얼마에 얼마나 살 건지를 사전 조사하는 제도입니다. 수요예측을 통해 발행회사가 기업가치와 사업성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공모 희망가액을 내놓으면 기관투자가가 그 회사의 투자설명서, 증권신고서 등을 참고하여 매입수량 및 가격을 제시하게 됩니다. 

 

3. 공모주 청약

공모주청약은 공모주의 주주가 되기 위한 절차로 투자자가 공모주를 사겠다고 신청하는 것입니다. 아파트 분양을 받을 때 하는 아파트 청약처럼 새로 상장하는 기업 주식을 받을 때도 미리 청신청을 받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아파트 청약이 집을 분양가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이라면, 공모주 청약은 주식을 공모가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4. 증거금

일종의 보증금과 같은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는 50%의 증거금을 내면 청약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관사가 개인 청약 경쟁률이 2 대 1을 넘어야 성공적으로 물량이 다 소화됐다고 판단하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5. 청약단위

투자자의 자금에 맞춰 25주를 사고 싶지만, 청약에는 '0'으로 끝나는 수량 단위가 있습니다. 청약 단위에 맞춰 청약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0주 단위, 50주 단위 등이 있습니다. 

 

6. 균등배정, 비례배정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 중 50%는 균등방식, 나머지 50%는 비례방식으로 배정됩니다. 균등배정은 증거금 규모와 상관없이 청약에 참여한 개인 모두에게 공모주 일부를 1/N로 균등하게 나눠주는 방식입니다. 비례배정은 증거금 규모에 따라 주식을 차등적으로 나누는 방식을 말하며, 청약 증거금이 많을수록 많은 수량이 배정됩니다.

LG CNS 사례

7. 상장일

주식시장에서 정식으로 거래되는 날입니다. 이 때부터 배정받은 공모주를 매도할 수 있으며, 매수도 가능합니다.

 

8. 기준가격 및 가격변동폭

공모주 상장일 기준가격은 공모가격입니다. 상장 당일 가격 변동폭은 기준가격 대비 60% ~ 400%까지 큰 폭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가격변동제한폭을 확대하면 유동 자금이 주식 시장으로 흘러들어와 자금 공급을 늘릴 수 있고 효율적으로 가격이 결정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가격이 왜곡될 여지가 많고 특히 코스닥 시장은 투기에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9. 공모주 일정

공모주 청약 일정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2024.11.10 - [주식일기] - 공모주 청약의 모든 것(A to Z)

 

공모주 청약의 모든 것(A to Z)

공모주 청약의 모든 것 (A to Z) 기업이 주식시장에 데뷔하는 것을 주식 상장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발행한 주식을 누구나 사고팔 수 있도록 증권 시장에 등록하는 것으로 이때 꼭 거치는 과장이

spie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