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59

세대 생략 증여, 대습 상속 세대 생략 증여란? 자녀가 살아 있는데도 자녀를 건너뛰고 손주에게 증여하는 것을 '세대 생략 증여'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증여세율에 30%를 할증하여 과세하며, 미성년자인 손주에게 20억 원 넘게 증여하는 경우에는 40% 가 할증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보다 손주에게 증여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1. 증여받은 자녀가 다시 손주에게 증여할 경우 A씨는 자녀인 B 씨에게 1억 원을 증여하려고 하고, B 씨는 다시 자신의 자녀 C 씨에게 1억 원을 증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세대 생략 증여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녀의 경우 1억원 까지는 증여세율이 10% 이므로, 이 경우 내야 할 증여세는 B 씨가 내야 할 1,000만 원, 그리고 C 씨가 내야 할 1,000만 원, 합하면 2,000만 .. 2022. 10. 13.
한정승인과 상속포기 상속 재산을 파악하는 것은 기본적이면서도 아주 중요한 절차입니다.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상속재산이 나중에 드러나면, 상속세는 물론 가산세까지 추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안심 상속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상속인 (또는 후견인) 은 돌아가신 분의 금융내역, 토지, 자동차, 세금, 연금가입 유무 등 사망자( 또는 피후견인)의 재산을 한 번에 조회해 손쉽게 상속재산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방법과 정부 24(www.gov.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민센터를 이용한다면 신분증과 가족관계 증명서를 준비해서 시청이나 구청,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재산조회 통합처리 신청서를 제출하면 상속 재.. 2022. 9. 20.
육식과 지구온난화 소 방귀세?  뉴질랜드가 2025년부터 소와 양이 내뿜는 온실가스에 비용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022년 6월 보도했습니다. <p .. 2022. 8. 14.
상속 개시 후 절세팁 상속 개시 후 절세 팁 1. 상속세 신고기한을 잘 지켜야 한다. 사망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상속세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상속세 신고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만큼 여유를 두고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한 내에 신고하면 상속세액의 3%만큼의 신고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일 기한 내에 신고. 납부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와 납부지연 가산세까지 추가됩니다. ( 어디에 신고해야할까? 상속세는 돌아가신 분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 증여세는 증여를 받은 사람의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 증여를 받은 사람이 비거주자(해외거주)인 경우에는 증여자의 관할세무서에 신고 ) 2. 상속재산을 나눌 땐 최대한 공제받을 수 있는 방법인지 검토한다. 농거주택 상속공제는 요건을 충족.. 2022.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