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

배우자상속공제란?

by 슈필1 2023. 5. 16.
반응형

배우자상속공제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최소 5억원을 공제해 주는 것입니다.

배우자는 재산을 형성하는데 돌아가신 분과 함께 공동으로 기여한 바가 크다고 보기 때문에, 배우자상속공제는 다른 공제보다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이 큽니다. 

 

 

* 배우자가 상속을 안 받아도  배우자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

배우자는 상속을 안 받고 자녀들에게 다 상속 재산을 주고 싶은데, 그래도 배우자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속 받은 재산이 없어도, 배우자가 살아 있기만 하면 배우자상속공제로 5억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령 돌어가신 분의 상속 재산이 10억 원인데, 배우자는 상속을 안 받고 자녀들이 10억 원을 모두 상속받는 경우에도 배우자상속공제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배우자상속공제는 30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하던데, 맞는 말인가요? 

답은 '그럴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입니다. 일단 배우자가 상속받은 재산이 없거나 5억 원이 안되면, 배우자 상속공제를 통해 최소 5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우자가 5억 원보다 많은 금액을 상속받았다면 어떨까? 

 

배우자 상속공제에는 한도가 있습니다. 배우자가 실제로 상속받은 재산의 민법상 법정 상속 지분과 30억원 중 적은 금액을 한도로 합니다. 이때 민법상 법정 상속 지분은 배우자는 1.5이며 자녀는 각 1씩입니다. 

 

즉, 배우자가 상속 받은 금액이 5억 원 이하인 경우는 5억을 모두 공제받지만, 5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실제 상속받은 금액의 한도 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한도'란 배우자의 법정지분 금액을 의미하는데 만약 법정지분이 30억 원을 넘는다면 30억 원까지만 공제해 주겠다는 의미입니다. 

 

 

* 돌아가신 분의 상속재산이 20억원일 경우 

상속인이 배우자와 자녀 두명이라고 가정하면, 배우자의 법정 상속지분은 약 43% 이고 자녀는 각 28.5% 가 됩니다. 최대한 받을 수 있는 배우자상속공제액은 배우자의 법정상속지분인 8억 6,000만 원입니다. 따라서 배우자가 8억 6,000만 원을 상속받는다면 전부 공제받을 수 있고, 그보다 많은 10억 원을 상속받는 다면 8억 6,000만 원까지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배우자가 4억원만 상속받고 나머지는 자녀들에게 나눠주기로 했다면? 그럼 최소금액인 5억 원을 배우자상속공제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배우자 상속공제를 받으려면 배우자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기한 ( 상속 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의 다음 날부터 9개월이 되는 날 ( 이를 배우자상속재산 분할기한이라 한다 )까지 배우자의 상속재산을 분할하고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부동산이나 주식과 같이 등기, 등록, 명의개서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등기, 등록, 명의개서 등이 된 것에 한정합니다. 이때 등기부 등본상 등기 원인이 '단순 상속'만으로는 인정장받을 수 없고 '협의 분할에 의한 상속 ' 이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배우자가 실제 상속 받은 금액이 없거나 상속받은 금액이 5억 원 미만이라면 위의 배우자상속재산 분할 신고를 하지 않아도 5억 원을 공제해 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