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용어
뉴 메이크 스피릿 New make spirit
- 증류기에서 갓 나온, 숙성되지 않은 위스키.
니트 neat
- 아무것도 섞지않은 위스키를 주문할 때 사용하는 용어.
몰팅 malting
- 수확한 보리를 맥아로 만드는 작업. 위스키 제조의 첫 단계로, 보리가 녹말을 발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당분과 효소를 함유하게 만드는 과정.
매싱 mashing
- 맥아를 갈아서 그리스트 grist라 부르는 가루 상대로 만든 뒤, 이 내용물이 최대로 용해될 수 있도록 매시턴 mash turn 이라 부르는 당화조에서 당분 용해액을 만드는 과정.
버트 butt - 500L 오크통.
배럴 barrel
- 200L 오크통. 주로 버번 위스티를 숙성할 때 사용.
스몰 배치 small batch
- 여러개의 오크통 중 마스터 블랜더의 선택을 받은 소수의 오크통에서 나온 위스키만 혼합해 만든 위스키.
스피릿 spirit
- 두 번째 증류 과정을 거친 증류액.
스피릿 세이프 spirit safe
- 응축기에서 나온 증류액의 알코올 농도, 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계. 유리로 내부를 볼 수 있게 설계된 구리 상자로, 증류 담당자인 스틸맨 stillman이 증류액을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싱글 캐스크 single cask
- 하나의 나무 통에서 추출한 위스키 원액을 다른 것과 섞지 않고 병입 한 제품
에인절스 쉐어 angel's share
- 위스키가 숙성할 때 증발해서 사라지는 술의 양을 '천사의 몫'이라고 부른다
에스테르 esters
- 위스키의 풍미중 하나, 산과 알코올이 작용해 생긴 화합물로, 위스키에 과일향과 꽃향기를 더하는 주된 요소.
워시백 washback
- 발효가 이루어지는 큰 통으로, 매싱 과정에서 맥아즙을 여기에 넣는다.
챠르 char
- 오크통의 내부를 태워서 그을리는 작업, 목재성분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원치 않는 풍미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
컨제너 congeners
- 유기화합물인 알데하이드, 지방산, 오일, 페놀, 등이 함께 어우러져 위스키의 풍미를 구성하는데, 이 요소를 총칭하는 것.
캐스크 cask
- 위스키를 담는 오크통. 배럴과 같은 뜻이지만, 이동성이 없는 나무 통을 지칭한다.
캐스트 스트랭스 cask strength
- 오크통에서 숙성을 마친 순수 위스키 원액. 보통 알코올 도수가 50~60% 이다.
쿼터 캐스크 quarter cask
- 위스키 숙성과정 중 일정기간 동안 일반 오크통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사이즈에서 숙성시키는 것. 작은 사이즈에서 숙성시키면 오크통과 접촉면이 늘어나 숙성이 빨라진다.
킬른 kilin
- 굽거나 건조하기 위해 쓰는 오븐을 일컫는 말이지만, 위스키 증류소에서는 맥아를 건조하는 건물을 통칭하거나, 맥아를 굽는 가마를 지칭한다.
피니싱 finishing
- 하나의 오크통에서 숙성하는 위스키를 다른 오크통에 옮겨 추가적으로 숙성시키는 방법.
- FOOD CULTURE WHISKEY - 참조
'미식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케의 정의와 원료 (0) | 2022.10.08 |
---|---|
커피 원산지 별 특성과 원두 이름 (1) | 2022.09.23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위스키 상식 (1) | 2022.08.11 |
알아두면 쓸모있는 위스키 종류 (2) | 2022.08.09 |
위스키의 역사 (1) | 2022.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