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N 특징 및 매매 방법, 세금 체계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은 증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는 파생 금융 상품으로, 기초자산에 연계하여 미리 정하여진 방법으로 투자자에게 수익률을 지급하는 '상장지수증권(파생결합증권)'으로 일본주식처럼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N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와 거래방법, 그리고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N 특징
1) 실물자산이 없음
실물가치가 기초지수의 수익률에 연동되는 상장 상품이라는 측면에서 ETF와 유사하나 ETN은 증권회사의 무담보 신용으로 발행한 상품으로 실물자산이 없습니다. 그러나 발행사 신용위험에 따른 원금손실 가능성은 있습니다.
2) 주식처럼 매매가 가능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이라는 점에서 ELS/DLS와 유사하나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매매가 가능합니다. 특정조건충족 시 약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ELS/DLS와 구별됩니다.
3) 세제상 장점과 비용절감효과
국내 주식형 ETN은 거래소에 거래되는 주식과 유사한 상품이지만 국내 주식 매도 시 발생하는 증권거래소가 면제되며, 국내 주식을 기초로 한 ETN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으로 투자에 유리합니다.
단, 금융투자소득세 도입을 위한 개정 소득세법 등이 시행된 이후 본 증권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거주자 개인에 대해 금융투자소득으로 합산하여 원천징수 될 수 있습니다.
4) 위험 분산 가능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 5 종목 이상으로 지수가 구성되어 있어 배당이나 성장 등 특정한 투자 목적에 충실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합니다.
2. ETN 종목명 이해
ETN 종목명에 중요한 상품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어 ETN 종목명을 이해하면 상품의 큰 특징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정식명칭은 투자설명서 등에서 상품을 지칭하는 공식 명칭이며 약식명칭은 HTS 등에서 간략하게 표기할 경우 사용하는 명칭입니다.
3. ETN 매매 방법
ETN 매매 방법은 일반적인 주식 및 ETF 거래 방법과 거의 동일합니다.
- 매매시간 : 정규시간(09:00~15:30), 시간 외(07:30~08:30, 15:40~18:00)
- 호가가격단위 : 5원 (2,000원 미만은 1원)
- 매매수량단위 : 1주
- 가격제한폭 : 기준가격의 -30% ~ +30%(-1배, +1배를 초과하는 레버리지/인버스형 ETN의 경우 그 배율을 곱한 수치)
4. ETN 세금 체계
증권거래세는 비과세이며, 현금분배금과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는 ETF 과세 내용과 동일하게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으로 적용됩니다. 특히 원천징수의 경우, 내국법인은 ETF와 달리 원천징수 대상에서 제외되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지금까지 ET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 상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드신 후 모바일 앱 또는 HTS,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직접 거래가 가능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4.06.06 - [주식일기] - ETF 특징 및 매매 제도와 세금 체계
ETF 특징 및 매매 제도와 세금 체계
ETF 특징 및 매매 제도와 세금 체계ETF(Exchange Traded Fund)는 특정 지수 및 특정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한
spiel.tistory.com
* 참조 : 삼성증권, 신한 ETN 등
* 상기 내용은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닌 단순 정보 제공을 위한 용도입니다. 투자 시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으며 투자 시 충분한 분석과 신중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31일 재개되는 공매도, 공매도 재개 시 관심 테마 (0) | 2025.03.24 |
---|---|
좀비기업 개념과 코스피, 코스닥 상장 폐지 기준 (2) | 2025.03.17 |
연금계좌에 유리한 ETF는? 성장주 vs 배당주 (8) | 2025.03.03 |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NXT) 출범 (3) | 2025.02.24 |
해외펀드 투자 시 환헤지는 해야 하나? (3) | 2025.02.17 |
댓글